암 줄기 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빅 5" 파이토케미컬
커큐민, EGCG, 설포라판, 레스베라트롤 및 제니스테인
암 줄기세포는 거의 모든 기존의 암 치료제에 대한 내성을 가지기에 종양의 재발 및 전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커큐민,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설포라판, 레스베라트롤 및 제니스테인은 시험관 내 및 인간 이종이식 마우스에서 암 줄기세포의 경로를 방해하여 CSC를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암 줄기세포의 경로
: Wnt/β 카테닌, Sonic Hedgehog, Notch, PI3K/Akt/mTOR 및 STAT3 신호 전달 경로의 활성화, 알데히드 탈수소효소 1(ALDH1) 및 발암성 microRNA의 발현, 획득. CSC의 저항성 및 생존을 부여하는 다양한 경로 및 메커니즘 상피-중간엽 전이(EMT)가 최근에 확인됨.
최근의 임상 시험에서 5가지 파이토케미컬 단독 또는 현대 암 치료제와 병용 및 다양한 유형의 암에 대한 치료 효능이 입증되었습니다.
현재의 암 치료법은 암 줄기세포를 근절하는데 실패하여 암 재발과 진행을 일으키기 때문에 커큐민, EGCG, 설포라판, 레스베라트롤 및 제니스테인과 같은 식물 화학 물질을 서로 결합하거나 기존 세포 독성 약물 및 신규 암치료제와 결합하여 CSC를 표적화합니다. 치료법은 암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지난 10여년간 확인된 CSC를 선택적으로 표적화하는 화합물
=살리노마이신, 독시싸이클린 및 라파마이신
=CSC의 주요 신호전달 경로를 표적으로 하는 소분자억제제
=CSC 특이적 세포 표면 단백질에 대한 항체
=메트포르민, 디설피람, 아스피린, 티오리다진, 스타틴
5가지 파이토케미컬
광범위한 안전성 프로파일, CSC의 주요신호 및 생존경로를 방해하여 CSC를 표적화하는 능력.
커큐민,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설포라판, 레스베라트롤, 제니스테인.
커큐민
화학적으로 커큐민은 천연 폴리페놀인 curcuminoids 그룹에 속하는 diaryl heptanoid입니다.
커큐민은 인도 향신료 식물인 강황 (Curcuma longa)의 뿌리줄기에서 고농축으로 발견됩니다.
최근 임상 시험에서 인간에서 항암 및 화학 예방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 났습니다.
커큐민은 항발암성, 항혈관신생, 항미생물, 항바이러스, 항염증, 항산화, 세포자멸 촉진, 면역조절, 화학감작 및 방사선 감작 활성을 포함한 다면적 생물의학적 활성을 나타냅니다.
시험관 내 및 이종이식 마우스에서 자가 포식을 유도하여 인간 교모세포종 CSC의 분화를 촉진합니다.
커큐민 치료는 교모세포종 CSC의 자가 재생을 억제합니다.
커큐민 치료는 교모세포종 CSC를 표적으로 함으로써 교모세포종에서 상당한 치료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인간 대세포 폐암(이종 이식편)에서 커큐민은 JAK2/STAT3 신호 전달 경로를 하향 조절하여 JAK2 활성과 CSC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종양 퇴행으로 이어집니다.
인간 비소세포폐암(NSCLC)이 풍부한 CSC에서 커큐민은 증식을 억제하고 DNA 손상을 일으키며 Wnt/β-catenin 및 Sonic Hedgehog 신호 전달 경로의 활성화 억제와 함께 CSC의 세포 자멸사를 유도합니다.
커큐민은 대장암에서 Notch, PI3K/Akt/mTOR, Wnt/β catenin 및 Sonic hedgehog 신호 억제, 발암성 microRNA 발현 억제, ALDH1 발현 억제, EMT 억제, 아폽토시스 유도등 여러 수준에서 결장직장 CSC를 표적으로 한다.
대장암 치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세포증식 억제제인 5-FU(5-플루오로우라실)와 커큐민 치료는 커큐민을 민감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이성 결장직장암 환자에서 커큐민 및 FOLFOX(5-FU 및 옥살리플라틴)요법은 시너지 효과를 보여 주었습니다.
체외에서 커큐민과 시스플라틴으로 치료한 후두암의 암 줄기세포에서 유사한 상승 효과가 발견되었습니다.
커큐민은 인간 간세포 암종의 CSC를 표적으로 하고 고갈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간 간 세포 암종이 있는 이종이식 마우스에서 커큐민은 CSC의 이동, 침입 및 EMT를 억제하여 마우스에서 종양 성장 및 전이를 억제합니다.
최근의 실험 연구는 커큐민이 PI3K/Akt/mTOR 신호 전달 경로를 억제함으로써 간세포 암종 CSC의 성장을 억제하고 세포자멸사를 유도한다는 기전적 증거를 제공했으며, 이는 결장직장 CSC에도 설명되어 있습니다.
최근의 실험 연구에 따르면 커큐민은 삼중 음성 유방암 세포 또는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양성 유방암 세포에서 유래한 CSC에서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세포 사멸을 유도합니다.
커큐민은 이전 연구에서 유방암 줄기세포의 이동등을 억제하여 이들 세포의 악성 가능성을 감소시킵니다.
즉 커큐민은 유방 CSC 기능과 생존에 필수적인 여러 분자 메커니즘을 방해함으로써 유방 CSC를 표적으로 합니다.
인간 전립선암 세포에서 유래한 CSC에서 커큐민은 CSC 마커 CD44, CD133 및 Oct4의 하향 조절과 함께 세포 주기 정지, 증식 및 침입 억제를 유도합니다. 이러한 커큐민의 잠재력은 IncRNA-ROR 및 miR-145 발현과 같은 발암성 및 종양 억제 microRNA 발현의 균형을 유리하게 조절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모든 연구의 결과를 고려할 때, 최근 연구에서 Burkitt 림프종 및 급성 골수성 백혈병, 췌장암, 구강암및 요로상피암을 포함한 다른 악성 종양에서 CSC 마커 CD44 및 CD133의 하향 조절 및 Wnt/β-카테닌 신호 전달 경로의 억제와 같은 유사한 효과 및 기전에 의해 CSC를 표적으로 하는 커큐민의 상당한 잠재력이 입증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결장직장암의 암 줄기세포에서 커큐민과 화학요법의 시너지 효과 감지를 기반으로 진행 중인 임상 연구에서 5-FU 또는 5-FU + 이리노테칸(FOLFIRI)과 결합된 커큐민의 치료 이점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 임상 연구에서는 초기 유방암 및 전립선암 환자에서 커큐민의 암 화학 예방 효과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임상 연구의 결과는 가까운 장래에 기대되며 관심을 가지고 기다리고 있습니다.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EGCG는 카테킨의 주성분이자 가장 풍부한 녹차(Camellia sinensis) 잎에서 추출한 일반적으로 소비되는 음료입니다.
화학적으로 EGCG는 폴리페놀 계열에 속하며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냅니다.
EGCG 및 관련 녹차 폴리페놀은 전암 및 악성 세포에서 광범위한 전사 인자 및 신호 전달 경로에 영향을 미쳐 발암을 억제하고, 암세포 및 CSC에서 선택적으로 세포자멸사 및 세포 주기 정지를 유도하고, 후성 유전적 변형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EGCG는 microRNA 발현 프로파일을 조절하고 CSC의 필수 생존 기전을 방해하여 CSC 성장 억제, EMT 역전 및 기존 항암제의 효능 향상으로 이어집니다.
여러 연구에서 장기간 녹차 섭취, EGCG 경구 투여가 다양한 암 발병률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첫 연구에서는 EGCG가 caspase 의존적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고 전립선암 세포주와 인간의 원발성 전립선 종양에서 분리된 CD44+ CD133+ 전립선 암 줄기세포의 자가 재생 능력을 억제한다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이 CSC에서 EGCG는 Bcl-2, survivin 및 XIAP와 같은 항 세포 사멸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합니다.
또한, EGCG는 EMT 관련 단백질인 vimentin, 핵 β-catenin, Slug 및 Snail의 발현 억제와 함께 CSC의 EMT를 억제합니다.
같은 저자의 이후 연구에서 인간 췌장 CSC에서 유사하고 확장된 결과가 얻어졌습니다.
EGCG는 카스파제 의존성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고 세포의 자가 재생 능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EGCG는 만능 유지 전사 인자인 Nanog, c-Myc 및 Oct4의 발현을 억제하고, Snail, Slug 및 ZEB1의 발현과 TCF/LEF 전사 활성을 억제하여 EMT를 억제하여 세포의 이동 및 침입을 현저히 감소시킵니다.
특히, EGCG는 Smo, Patched, Gli1 및 Gli2를 포함한 Sonic hedgehog 경로의 주요 구성요소의 췌장 CSC 신호전달 및 전사 활성을 억제하여 EGCG가 CSC의 여러 필수 분자 구성 요소 및 경로를 억제할 수 있음을 초기에 밝혀냈습니다.
초기 연구에 따라 최근에 EGCG가 특히 포스포디에스테라제 3 억제제와 함께 인간 췌관 선암종의 CSC에서 필수 분자 경로(즉, FOXO3 및 CD44 축)를 억제하여 종양 형성을 강력하게 억제한다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커큐민에 대해 나타난 바와 같이, EGCG는 인간 NSCLC에서 유래한 CSC에서 Wnt/β-카테닌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CSC 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자멸사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 연구에서는 EGCG가 핵인자 RXRα의 발현을 억제함과 동시에 인간 NSCLC 세포에서 유래한 CSC에서 microRNA hsa-mir-485-5p의 발현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종적으로 인간 NSCLC를 갖는 이종이식 마우스에서 CSC의 제거로 이어집니다.
같은 저자가 발표한 또 다른 최근 연구에서는 NSCLC 세포에서 파생된 시스플라틴 내성 CSC에서 EGCG에 의한 microRNA485/ CD44 축의 유사한 조절이 밝혀졌습니다.
이 연구에서 EGCG는 microRNA-485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microRNA-485의 다운스트림 표적인 CD44의 발현을 감소시켜 인간 NSCLC가 있는 이종이식 마우스에서 CSC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증식 억제 및 세포자멸사 유도를 수반하는 Wnt/β-카테닌 신호전달 경로의 하향 조절은 인간 CSC에서 커큐민 및 EGCG의 특정 활성 모드인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최근 연구는 EGCG에 노출된 대장암 유래 CSC에서 증식 억제 및 세포자멸사 유도와 함께 Wnt/β-카테닌 신호전달의 현저한 억제를 보여줍니다.
EGCG는 또한 결장직장 CSC에서 단백질 키나제 p Akt 및 Nek2의 전사를 억제하여 Akt 신호전달의 억제 및 세포자멸사 유도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커큐민에 대해서도 입증된 바와 같이, EGCG는 5-FU에 대한 결장직장 암 줄기세포의 저항성을 역전시키고 Notch1 신호전달의 억제 및 마이크로 RNA 발현의 조절을 촉진합니다.
최종적으로 결장직장 CSC에 의해 확립된 인간 결장직장암이 있는 이종이식 마우스에서 종양 성장의 현저한 억제를 초래했습니다.
CSC를 표적으로 하는 EGCG와 커큐민의 상승 효과는 삼중 음성 유방암 세포 또는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양성 유방암 세포에서 유래한 CSC에서 입증되었습니다.
이러한 CSC에서 커큐민과 결합된 ECGC는 CSC 관련 세포 표면 수용체 CD44의 발현을 하향 조절하고 STAT3 및 NF-κB 신호 전달 경로를 억제하여 CSC를 제거합니다.
또한, 독소루비신 및 파클리탁셀 내성 삼중 음성 유방암 세포에서 유래한 CSC에 대한 최근 연구 결과는 EGCG가 고도로 공격적인 삼중 음성 유방암에서 CSC를 제거할 수 있음을 강력하게 시사합니다.
EGCG는 또한 혀, 입, 하인두, 비인두, 인후, 후두, 부비동 및 타액선의 병리학적으로 이질적인 암 그룹인 두경부 편평 암종(HNSC)의 CSC를 표적으로 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HNSC CSC에 대한 초기 연구는 EGCG가 자가 재생 능력을 억제하고 줄기 세포 마커인 Oct4, Sox2, Nanog 및 CD44의 발현을 약화시키고, 시스플라틴의 화학 민감성을 증가시키고, Notch의 전사 수준을 감소시켜 Notch 신호 전달을 억제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또한, 시스플라틴과 함께 EGCG는 인간 HNSC CSC가 이식된 이종이식 마우스에서 종양 형성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교모세포종 및 대세포 폐암의 CSC의 커큐민과 유방암의 CSC의 EGCG에 대해 입증된 바와 같이, EGCG는 STAT3 신호전달을 하향 조절하여 HNSC CSC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인간 CSC의 유지에 매우 중요합니다.
후속 연구에 따르면 EGCG는 HNSC CSC에서 핵의 억제에 의해 자가 재생, 이동 및 EMT를 억제합니다.
NF-κB p65의 전위 및 전사 활성 뿐만 아니라 microRNA miR-204 의 상향 조절에 의해 최종적으로 HNSC CSC에 의해 확립된 인간 HNSC가 있는 이종이식 마우스에서 종양 성장의 억제로 이어집니다.
보다 최근의 연구에서 EGCG는 궁극적으로 소닉 고슴도치 경로의 억제와 같은 다양한 메커니즘에 의해 요로상피암, 골육종 및 교모세포종을 포함한 다른 인간 암에서 CSC를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설포라판
설포라판(1-Isothiocyanato-4-methylsulfinyl butane)은 효소 myrosinase의 활성을 통해 배당체로부터 생체 내에서 생산되는 천연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이며 브로콜리 (Brassica oleracea italica)와 같은 십자화과 채소로 알려진 식물 종류에 존재합니다.
마우스 간암 세포에서 퀴논 환원효소 및 글루타티온 S-트랜스퍼라제와 같은 2상 해독 효소를 유도하고 쥐에서 유방암 형성을 예방하는 능력에 기초하여 검출된 항발암 활성을 나타내었다.
지난 20년 동안 설포라판은 다단계 발암을 예방하기 위해 여러 세포 메커니즘을 표적으로 삼는 능력을 기반으로 하는 강력한 화학예방제로서 발견되었습니다.
설포라판에 의한 암 예방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기전은 발암성 물질의 활성화를 담당하는 1상 효소의 억제와 돌연변이원 제거에 중요한 2상 효소의 유도를 포함합니다.
또한, 설포라판은 세포자멸사 활성화, 세포 주기 정지 유도,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억제, NF-κB의 전사 활성 억제를 비 롯한 여러 관련 항암 경로를 매개합니다.
레스베라트롤
레스베라트롤(trans-3,5,4'-Trihydroxystilbene)은 스틸베노이드 및 천연 폴리페놀로 적포도주 (Vitis vinifera), 발아 땅콩 (Arachis hypogaea)의 껍질에서 가장 높은 농도로 발견됩니다.
이 화합물은 심장 보호, 신경 보호, 혈관 이완제, 식물성 에스트로겐, 항 노화, 항비만, 항당뇨병, 항염증, 항산화, 항증식 및 암 화학 예방 활동을 포함한 과다한 생물의학적 활성을 나타냅니다.
실험 연구에 따르면 레스베라트롤은 세포주기 정지, 세포자멸사, 자가포식, 유사분열 재앙 및 지질 대사의 변화를 유도하여 다양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합니다.
EGCG, curcumin 및 sulforaphane과 마찬가지로 resveratrol은 Wnt/β catenin, Hedgehog, Akt/STAT3 및 NF-κB 신호 전달 경로를 방해하고 암 세포와 CSC에서 microRNA 및 noncoding RNA의 발현 프로필을 조절합니다.
따라서, 레스베라트롤은 최근 인간 암의 화학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유망한 후보 약제로 구상되고 있습니다.
거의 10년 전, 레스베라트롤은 인간 수모세포종 세포와 유방암 세포가 풍부한 CSC에서 증식을 억제하고 선택적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간 교모세포종의 CSC에서 레스베라트롤은 신경교 유사 및 뉴런 유사 분화를 촉진하고 세포 주기 정지, 자가포식, 세포자멸사 및 종양구 형성 억제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커큐민 및 설포라판에 대해 입증된 바와 같이, 레스베라트롤은 Wnt/β-카테닌 신호 전달 경로를 억제하여 삼중 음성 유방암 세포 또는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양성 유방암 세포에서 유래한 CSC를 제거합니다.
이러한 CSC에서 레스베라트롤에 의한 Wnt/β-카테닌 신호전달 경로의 억제는 증식의 억제 및 β 카테닌의 과발현에 의해 방지되는 자가포식의 유도를 초래한다.
추가 연구에서 레스베라트롤은 EMT 억제 및 대사 재프로그래밍과 같은 다양한 메커니즘에 의해 비인두암, 골육종 및 자궁경부암을 포함한 다른 인간 암에서 CSC를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니스테인
Genistein(4',5,7-Trihydroxyisoflavone)은 천연 이소플라본과 식물성 에스트로겐으로 대두(Glycine max)와 Genista tinctoria에서 추출한 것입니다.
암세포에서 제니스테인의 생물학적 효과와 기전의 과잉은 세포 주기 정지 및 세포 사멸 유도, 산화 스트레스, 염증, 혈관 신생 및 EMT 억제,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 및 대사 경로의 조절을 포함합니다.
여러 역학 연구에 따르면 대두가 풍부한 식단과 암 예방 사이에는 대두 기반 식품의 제니스테인 함량에 따른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습니다.
암세포에서 이러한 다면발현 효과를 고려할 때, 제니스테인이 인간 CSC를 표적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2012년 첫 번째 연구에서 제니스테인이 시험관 내 및 이종이식 마우스에서 CSC 마커 CD44의 세포 표면 발현의 하향 조절 및 Sonic 고슴도치 신호 전달 경로의 억제를 동반하는 인간 전립선암에서 유래한 CSC를 제거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종 이식 마우스에서 전립선 암 줄기세포의 생착과 후속 종양 성장은 제니스테인에 의해 유의하게 억제되었으며, 이는 전립선 암 줄기세포에 대한 제니스테인의 강력한 세포독성을 보여줍니다.
후속 연구는 인간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양성 유방암 세포에서 유래한 CSC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이 연구에서 genistein은 증식 억제 및 세포 사멸 유도, 그리고 마지막으로 유방 CSC가 이식된 이종이식 마우스의 종양 성장 억제와 관련된 CSC에서 Sonic hedgehog 신호 전달 경로를 억제했습니다.
Genistein은 또한 줄기 세포 마커 CD44 및 ESA의 하향 조절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삼중 음성 유방암 세포에서 유래된 유방 CSC의 분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간 위암 세포에서 파생된 CSC에서 제니스테인은 Sonic hedgehog 신호 전달 경로를 매개하는데 중요한 전사 인자인 Gli1의 발현을 억제하여 CD44 의 침습성, 이동 및 세포 표면 발현과 같은 CSC 특성을 약화시킵니다.
유사한 연구에 따르면 제니스테인은 성장과 증식을 억제합니다
위암에서 유래한 CSCs의 5-FU 및 cisplatin, 위암 치료에 사용되는 세포증식 억제제에 대한 내성을 역전시킵니다.
또한, 원리 증명으로 제니스테인은 인간 위암이 있는 이종이식 마우스에서 종양 성장을 억제합니다.
보다 최근의 연구는 제니스테인이 인간 신장암 및 비인두암에서 유래한 CSC에서 Sonic 고슴도치 신호 전달 경로를 억제 함으로써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자멸사를 유도한다는 것을 보여주며, 제니스테인 이 Sonic을 표적으로 하여 인간 CSC를 제거할 수 있음을 다시 드러냈습니다.
마지막으로, 새롭게 합성된 genistein 유도체인 7-difluoromethoxyl-5',4'- di-n-octylgenistein은 genistein보다 생체이용률이 더 우수하여 위암과 난소암에서 유래한 암 줄기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상 및 건강한 줄기세포에 대한 5가지 식물화학물질의 표적외 효과
결론적으로 5가지 파이토케미컬이 정상적이고 건강한 줄기 세포에 해로운 영향보다 오히려 유익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커큐민과 레스베라트롤은 신경 줄기 세포(NSC)를 자극하여 성인 신경 발생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설포라판은 Wnt/β 카테닌 신호 전달 경로의 상향 조절에 의해 NSC의 세포 증식 및 신경 분화를 자극하고, 중간엽 줄기세포(MSC)의 자가 재생을 촉진합니다.
반면에 커큐민은 AMPK를 조절하고 Wnt/β-카테닌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하여 MSC가 지방 분화를 억제하는 것을 억제합니다.
또한 MSC의 증식을 억제하고 PPAR 수용체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지방 생성 마커의 발현을 감소시킵니다.
커큐민은 Akt/GSK3, Wnt/β/catenin, Keap1/Nrf2/HO-1 및 ER 스트레스와 같은 다양한 경로를 활성화하여 MSC가 조골세포로 분화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세포의 골형성 분화를 방해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커큐민은 BMP/ Smad 및 JNK/Bax 신호 전달 경로를 억제하여 조골세포와 파골세포 분화를 모두 억제합니다.
또한 NF-κB 및 RANKL/RANK를 억제하여 파골세포 분화를 억제함과 동시에 Wnt/β-카테닌 경로를 활성화합니다.
또한, 커큐민의 항염증 효과는 MSC의 연골 분화를 유도하는 반면, 세포 사멸을 자극하거나 액틴 재구성을 억제하는 영향은 연골 분화를 억제합니다.
커큐민이 세포의 골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연구자들은 커큐민을 골다공증 치료에 임상적으로 사용하려고 했습니다.
환자에게 110/mg/kg/ day의 용량으로 6개월간 커큐민을 투여한 결과 환자의 골밀도가 유의하게 증가 했습니다.
또한, EGCG, 레스베라트롤 및 제니스테인은 BMP2, Runx2 및 Wnt/β/ 카테닌과 같은 복잡한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 MSC의 세포 분열 및 골형성 분화를 촉진합니다.
현재까지 이용 가능한 이러한 데이터를 고려할때 5가지 파이토케미컬은 정상적이고 건강한 줄기 세포의 기능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표 1. 인간 CSC의 5가지 파이토케미컬과 그 표적
화합물 | csc의 기원 | 메커니즘 및 대상 |
커큐민 | 교모세포종 | 자가포식 유도, 신경교 분화 유도, ROS 유도, STAT3 신호의 하향 조절 |
대세포폐암 | JAK2/STAT3 신호의 하향 조절 | |
비소세포폐암(NSCLC) | apoptosis 유도, Wnt/βcatenin 억제 및 Sonic hedgehog 신호전달 | |
대장암 | Notch, PI3K/Akt/mTOR, Wnt/β catenin 및 Sonic hedgehog 신호 억제, 발암성 microRNA 발현 억제, ALDH1 발현 억제, EMT 억제, 아폽토시스 유도 |
|
간 세포암 | NF-κB 활성화 억제, EMT 억제, PI3K/Akt/mTOR 신호전달 억제 | |
유방암(삼중음성 및 ER/PR 양성) | Wnt/β-catenin 및 Sonic 고슴도치 신호의 억제, EMT 억제, β-카테닌 핵전위 억제 | |
전립선암 | 마이크로RNA 발현 조절 | |
요로상피암 | Wnt/β-카테닌 신호전달 억제 | |
EGCG | 전립선암 | 아폽토시스 유도, EMT의 억제 |
췌장암 | 아폽토시스 유도, EMT 억제, 소닉 고슴도치 신호 억제 | |
비소세포폐암(NSCLC) | 세포자살 유도, Wnt/β-카테닌 신호전달 억제, microRNA 발현 조절 | |
대장암 | 세포자살 유도, Wnt/β-catenin 및 Akt 신호전달 억제, microRNA 발현 조절 | |
유방암(삼중음성 및 ER/PR-양성) | STAT3 및 NF-κB 신호의 억제 (커큐민과 병용) | |
두경부 편평상피암(HNSC) | Notch 신호 억제, STAT3 및 NF-κB 신호 전달 억제, EMT 억제, microRNA 발현 조절 | |
요로상피암 | Sonic 고슴도치 신호 억제 | |
설포라판 | 췌장암 | 세포자살 유도, NF-κB 신호전 달 억제, 혈관 신생 억제, Wnt/β-catenin 및 Sonic 고슴도치 신호의 억제, EMT의 억제 |
유방암(삼중음성 및 ER/PR-양성) | Wnt/β-카테닌 신호전달 억제, NF-κB 신호 전달 억제, ALDH1 발현 억제 | |
비소세포폐암(NSCLC) | 마이크로RNA 발현 조절, Wnt/β-catenin 및 Sonic 고슴도치 신호의 억제 | |
전립선암 | 아폽토시스 유도, NF-κB 신호 전달 억제, ALDH1 활성 억제, Notch 신호 억제 | |
대장암 | 아폽토시스 유도, ALDH1 활성 억제, Notch 신호 억제, Wnt/β-카테닌 신호전달 억제 | |
위암 | Sonic 고슴도치 신호 억제 | |
교모세포종 | 세포자살 유도, 미토콘드리아 ROS 생성 | |
레스베라트롤 | 교모세포종 | apoptosis, autophagy 및 glial 분화 유도 |
췌장암 | 아폽토시스 유도, EMT 억제, 지질 합성 억제 | |
대장암 | 아폽토시스 유도, 자가포식 유도, Wnt/β-카테닌 신호전달 억제, EMT 억제, 내피전환분화 | |
유방암(삼중음성 및 ER/PR-양성) | 자가포식 유도, Wnt/β-카테닌 신호전달 억제 | |
난소암 | 아폽토시스 유도, MDR1 발현 억제 | |
비인두암 | EMT 억제, 대사 재프로그래밍 | |
골육종 | STAT3 신호의 억제 | |
자궁경부암 | RAD51 발현 억제 | |
제니스테인 | 전립선암 | Sonic 고슴도치 신호 억제 |
유방암(삼중음성 및 ER/PR-양성) | 아폽토시스 유도, 소닉 고슴도치 신호 억제, 내피전환분화 | |
위암 | 아폽토시스 유도, 소닉 고슴도치 신호 억제, | |
신장암 | 소닉 고슴도치 신호 억제 | |
비인두암 | 소닉 고슴도치 신호 억제 |
https://blog.daum.net/health-life/233
https://blog.daum.net/health-life/100
https://blog.daum.net/health-life/234
https://blog.daum.net/health-life/236
'암 치료 약물 > 피토케미컬,한약,생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 면역 요법에서 천연물의 새로운 역할 (0) | 2022.05.30 |
---|---|
고용량 멜라토닌으로 각종 암에 대하여 임상 (0) | 2022.05.16 |
유방암에 효과 있는 한약들 (0) | 2021.07.22 |
폐암에 효과 있는 한약들 (0) | 2021.07.19 |
위암에 효과 있는 한약들 (0) | 2021.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