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 증감제로서의 레스베라트롤: 최신 기술 및 미래 전망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922064/ 2021년 2월
기존 항암제와 결합된 레스베라트롤의 화학 감작 효과에 관한 최신 문헌 요약
약물종류 | 의약품 | 암 모델 | 레스베라트롤과의 병용 효과 | 참고 |
GBM 개시 세포(GIC) | DNA 이중 가닥 pATM/pART/p53 경로의 활성화 | [ 54 ] | ||
GBM 세포 | NF-KB 의존성 경로 및 활성화된 Wnt 신호 전달 경로의 억제를 통해 MGMT를 하향 조절함으로써 | [ 56 , 57 ] | ||
신경아교종 세포 | 유사 분열 재앙과 노화 | [ 58 ] | ||
백금화합물 | 시스플라틴 | 비소폐암 세포(NSCLC) H838 및 H520 | MMP의 탈분극과 세포사멸 | [ 65 ] |
A549 폐 암종 세포 | AKT의 인산화를 감소시켜 autophagy를 유도합니다. | [ 67 ] | ||
간암 세포 C3A 및 SMCC7721 |
산화 환원 항상성에서 수송체 ASCT2 불균형 감소 |
[ 69 ] | ||
A2780, OVCAR-3 CaOv-4 |
Proapoptotic 효과 | [ 70 , 71 , 72 , 73 ] | ||
EAC 종양 보유 마우스 | proapoptotic 가족 구성원의 활성화 | [ 77 ] | ||
흑색종 모델 | 커넥신 43 발현의 상향조절 | [ 78 ] | ||
옥살리플라틴 | 결장암 세포주 | 세포 성장 억제 | [ 74 ] | |
결장암 세포주 Caco2 | caspase-3-activation, PARP 절단 및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의 탈분극 방해 | [ 76 ] | ||
HCT116 세포 | 살아남은 단백질 발현의 재건 | [ 75 ] | ||
안트라사이클린 | 독소루비신(아드리아마이신) | MDA-MB-231 및 MCF-7/Adr 유방암 세포 MCF-7/Adr 세포 이종이식 모델 |
MDR1 및 MRP1의 발현을 감소시킵니다. P-gp ATPase 활성 감소 종양 부피 및 MDR1 및 MRP1 발현 수준 감소 |
[ 81 ] |
MCF-7 및 MDA-MB-231 세포주 Ehrlich 복수 암종 세포 함유 마우스 |
성장 억제, clonogenic potential 감소, 염증 반응 억제, 세포 사멸 유도. 종양 부피 감소, 수명 증가 |
[ 82 ] | ||
SGC7901 위암 및 SGC7901/DOX 생체 내 이종이식 종양 모델 | PTEN/Akt 신호 전달 경로의 조절을 통한 ETM 억제 | [ 84 ] | ||
MCF7/Adr 유방암 세포 | SIRT1/ β-카테닌 경로의 조절 | [ 85 ] | ||
MCF-7/Adr 유방암 세포 | miR-122-5p를 표적으로 하여 세포 사멸 억제 단백질 Bcl-2 및 CDK를 조절합니다. | [ 86 ] | ||
PANC-1 췌장 세포의 회전 타원체 | 약물의 P-당단백질 매개 유출 감소 | [ 87 ] | ||
HCT116 결장암 세포주 | Bax 유전자의 발현 증가 및 p-gp의 유출 활성 차단 | [ 88 ] | ||
Caco-2 결장직장 및 CEM/ADR5000 T 림프모세포양 세포주 |
ABC 수송체, 대사 효소 GST 및 CYP3A4 활성 억제 | [ 89 ] | ||
항대사물질 | 5-플루오로우라실 | 대장암 세포 | pAkt 신호 전달 경로 억제 TNF-β 유도 상피-중간엽 전이 감소 및 NF-KB 하향 조절 |
[ 94 ] [ 98 , 99 ] |
대장암 세포주 | Akt 및 STAT3 수준의 억제와 관련된 산화환원 항상성의 불균형 | [ 95 ] | ||
B16 생쥐 흑색종 세포 생쥐 의 B16-종양 모델 |
AMPK, COX-2, VASP 및 VEGF 수준 조절 종양 성장 감소 |
[ 96 ] | ||
간의 뮤린 모델 | 종양 성장 감소 | [ 97 ] | ||
젬시타빈 | 진행성 췌장암(PC) | SREBP1의 하향 조절 | [ 101 ] | |
누드 마우스의 PaCa 이종이식편 | 종양 성장 감소 | [ 102 ] | ||
췌장암 세포 | ROS 축적, Nrf-2 신호 활성화, NAF-1 억제 | [ 103 ] | ||
췌장암 세포 | YAP의 하향 조절 | [ 104 ] | ||
췌장암 세포 및 생체 내 모델 | VEGF-B 및 GSK3β의 하향 조절 | [ 105 ] | ||
인간 방광암 세포주 | ABCC2, DCK, TK1 및 TK2 기능의 조절 및 증가된 PARP 절단 및 세포사멸 | [ 106 ] | ||
유사분열 억제제 |
도세탁셀 | HER-2 과발현 SK-BR-3 유방암 세포 | AKT 경로를 차단하는 것 외에도 HER-2의 강화 및 활성화를 차단합니다. | [ 108 ] |
파클리탁셀 | MDA-MB-231 유방암 세포주 | 세포노화 및 세포사멸 유도 | [ 109 ] | |
파클리탁셀 내성 비호지킨 림프종 및 다발성 골수종 | Bcl-x를 감소시키고 Bax 및 Apaf-1 발현을 상향 조절합니다. | [ 110 ] | ||
MCF-7 및 T47D ERα 양성 유방암 세포 | E2/Erα 경로 간섭을 통해 NGB 수준 감소 | [ 111 ] | ||
DBTRG 교모세포종 세포주 | 산화에 민감한 TRPM2 채널의 자극 및 활성화 | [ 112 ] | ||
내분비요법 | 타목시펜 | MCF-7 타목시펜 내성 암세포 | 세포 주기 차단, p38 MAPK/CK2 신호 활성화 및 p53 유도를 통한 ERα의 전사 억제 | [ 119 ] |
4-하이드록시-타목시펜 (4-OHT) |
MCF-7-TR 유방암 세포 | p38 MAPK/카세인 키나제 II 신호전달, p53, ER 근위 프로모터에 대한 전사 핵 인자 Y(NF-Y)와의 결합을 통한 ER 전사 억제 | [ 119 ] | |
랄록시펜 | MCF7 세포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 Bcl2/Bax 비율과 p53 및 caspases 3,8 발현 증가 | [ 121 ] | |
비칼루타마이드 | 전립선암 | AKT 신호 전달 경로의 하향 조절을 통해 CXCR4 발현 억제 | [ 123 , 125 ] | |
알킬화제 | 테모졸로마이드 | SHG44 GBM 세포주 생체 내 이종이식 마우스 모델 |
ROS 의존적 AMPK-TSC-mTOR 신호 전달 경로에 의한 부가 효과 종양 성장 감소 |
[ 53 ] |
종양 포도당 대사 조절을 통한 레스베라트롤의 항암 효과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825813/ 2021. 01.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은 식물이 곰팡이나 해충같은 안좋은 환경에 직면했을 때 만들어내는 파이토알렉신으로서 폴리페놀계 물질이다.
항암, 항바이러스, 신경보호, 항노화, 항염, 수명연장등의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인체에 미치는 독성이나 부작용에 대한 것은 특히 장기 복용의 경우 아직까지 연구된 바가 없다.
Sir1이라고 하는 탈아세틸 효소를 활성화시켜서 수명연장을 일으킨다.
또한 퀴논 환원효소(QR1)와 사이클로옥시제나제(COX)를 억제한다.
포도껍질, 포도씨, 땅콩, 오디에 들어 있다.
물에는 녹지 않고 알코올에 잘 녹는다. 포도주스보다 적포도주에 많이 들어 있다.
그러나 적포도주를 수명연장의 목적으로 마시기 위해서는 실험동물에 투여한 레스베라트롤의 양을 감안할 때 하루에 수십 병의 적포도주를 마셔야 한다.
알코올은 하루에 한 두 잔 이상을 마시면 득보다 해가 많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는 좋은 방법이 아니다.
대황속의 Rheum rhaponticum이라는 종의 뿌리에 많이 들어 있다.
다른 대황속 식물에 어느 정도 들어 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트랜스 레스베라트롤과 시스 레스베라트롤의 두가지 형태가 있다.
트랜스 레스베라트롤만이 약효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열과 자외선에 의해 트랜스 레스베라트롤이 시스 레스베라트롤로 바뀐다.
체내에서 재빨리 대사된다.
대사 산물은 주로 황화 유도체와 글루쿠로나이드 유도체이다.
유도체들의 약리 작용은 아직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순수 레스베라트롤은 체내에서 반감기가 8~14분정도이다.
[참고] 위키백과^^
레스베라트롤은 다중 신호 전달 경로를 조절하여 다중 표적화 물질로 작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암에서 염증, 혈관 신생, 증식, 전이, 포도당 대사 및 세포 사멸과 같은 주요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레스베라트롤은 Glut1, PFK1, HIF-1α, ROS, PDH 및 CamKKB / AMPK 경로에 영향을 주어 포도당 섭취와 해당 과정을 감소시킵니다.
또한 NF-kB, Sirt1, Sirt3, LDH, PI-3K, mTOR, PKM2, R5P, G6PD, TKT, talin 및 PGAM을 표적으로하여 세포 성장, 침입 및 증식을 억제합니다.
게다가, 레스베라트롤은 인테그린, p53, LDH 및 FAK를 표적으로 삼아 아폽토시스를 유도합니다.
결론적으로, 레스베라트롤은 생체 이용률을 높일 수 있고 이 천연 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면 종양 과정에 개입할 많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식물성 폴리페놀 레스베라트롤 (3,5,4'trihydroxy- trans- stilbene)은 먼저 백색 hellebore (Veratrum grandiflorum) 의 뿌리에서 분리되었습니다.
Resveratrol과 그 생물학적 유사체 (piceatannol 및 pterostilbene)는 땅콩 (Arachis spp.), 다양한 베리종 (Vaccinium sp.) 및 적포도주에서 발견되었습니다.
Resveratrol은 1997년에 종양의 시작, 촉진 및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처음 나타났습니다.
이후 많은 보고서에서 위장, 유방, 폐, 전립선 및 간 종양을 포함한 다양한 암 유형에 대한 광범위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입증했습니다.
레스베라트롤의 치료 잠재력은 다른 세포 증식 억제 약물과 함께 사용하는 상당한 화학 예방 효과로 더욱 강조됩니다 .
전통 의학에서 레스베라트롤은 오랫동안 약초 요법으로 사용되었습니다.
현대 의학에서 레스베라트롤은 항산화, 항염증, 항비만, 항당뇨, 항박테리아, 항암, 심장 보호 및 면역 조절 특성으로 인해 “다중 표적제”로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역학적으로, 적포도주의 소비와 프랑스 인구의 심혈관 질환 발생 사이에는 포화 지방 섭취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역 연관이 있습니다. 이 현상을 “프랑스 패러독스” 라고 합니다.
레스베라트롤은 암 발생 조절과 관련된 광범위한 분자 효과를 발휘합니다.
여기에는 포도당 흡수 및 젖산 합성의 감소, 결과적으로 증식 및 전이를 억제하고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칼로리 제한이 포함됩니다 .
더욱이, 레스베라트롤은 산화적 해당 과정에 관여하는 다양한 대사 효소와 신호 전달 경로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조절할 수 있습니다.
레스베라트롤에 의해 자극되는 가장 중요한 대사 조절 경로 중 하나는 시르투인 (히스톤 데아세틸라제)에 의존하는 분자 신호 경로입니다.
레스베라트롤은 시르투인 1 (Sirt1)을 상향 조절합니다.
Sirt1에 의존하는 수명 연장은 처음에는 효모, 벌레 및 파리에서 보고 되었습니다.
따라서, 시르투인은 레스베라트롤이 매개하는 종양에서 포도당 / 탄수화물 대사의 조절을 위한 주요 세포 내 표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7 개의 고도로 보존된 포유류 시르투인 (Sirt1-7) 단백질 (효모 Silent Information Regulator 2; Sir2와 상동)은 주로 NAD + 의존성 히스톤 데 아세틸라제의 계열입니다 .
생리적 및 병리학적 조건에서 신진 대사, 수명, 에너지 항상성, 미토콘드리아 기능 및 생물 발생을 포함한 다양한 세포 기능을 조절합니다.
SIRT는 핵 (Sirt1, Sirt6 및 Sirt7), 세포질 (Sirt2) 및 미토콘드리아 (Sirt3, Sirt4 및 Sirt5)에 국한되어 있지만 세포주기, 조직 유형, 발달 단계와 관련된 다양한 조건에 따라 전위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및 신진 대사 상태 ; 이것은 SIRT 국소화가 여러 대사 경로를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
Resveratrol은 Sirt1의 특정 활성제입니다.
Resveratrol은 생체 내에서 Sirt1을 통해 많은 대사 전사 조절제의 탈 아세틸화를 촉진합니다 .
이것은 당뇨병 치료 , 세포 사멸 , 염증 및 신경 보호와 관련이 있습니다.
게다가 Sirt1은 세포의 칼로리 제한과 수명 연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
흥미롭게도, Sirt1에 의해 조절되는 여러 세포 내 대사 경로도 종양 발달 중에 변경됩니다.
Sirt1은 다양한 발암성 단백질과 약물을 제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증식제 활성화 수용체-감마-보조 활성화제-1 (PGC-1)과 같은 많은 세포 대사 문제를 제어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해야 합니다.
실제로 PGC-1은 Sirt1에 의한 탈 아세틸화 후에 활성화되고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발현을 조절합니다
Sirt1은 또한 NF-κB , PTP1B 및 FOXO (Forkhead O box) 계열과 같은 다른 전사 인자를 표적으로 삼습니다 .
FOXO1은 인슐린 분비, 인슐린 저항성 및 인슐린 신호 전달 경로를 조절합니다.
차례로, 그것은 세포 포도당 흡수와 신진 대사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또한 Sirt1 활성화는 피루베이트 탈수소 효소 리포아미드키나제 4 (PDK4) 및 PDH와 같이 신진 대사를 제어하는 많은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합니다.
특히, 레스베라트롤은 Sirt1-FOXO1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 신진 대사를 조절합니다.
레스베라트롤의 노화 방지 효과는 항산화제, 항-사이클로 옥시게나제 및 항-유리기 활성, 시험관 내 및 생체 내 세포주기에 미치는 영향, Sirt1 자극을 통해 매개될 수 있습니다.
레스베라트롤 치료는 Sirt1을 유도함으로써 암에 대해 칼로리를 제한하는 보호 효과를 모방합니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 유방암 세포에서 레스베라트롤은 NAD + / NADH를 상승시킨 후 Sirt1을 활성화하고 세포 에너지 수준의 핵심 센서인 AMPK (AMP 활성화 키나아제)를 활성화 했습니다.
AMPK 활성화는 4E-BP1을 억제하여 mTOR 경로와 단백질 번역을 더욱 억제하여 암세포 증식을 억제합니다.
인간 NSCLC 세포주에서의 레스베라트롤 처리는 Sirt1을 상향 조절했다
=이것은 NF-κB 기능 및 유전자 발현의 상실과 관련이 있으며 세포가 TNFα 유도 세포 사멸에 취약하도록 만들었다.
Resveratrol 치료는 C2C12 근 모세포와 골격근에서 미토콘드리아 기능의 Sirt1 의존적 개선과 상관 관계가 있는 micro-RNA (miRNA-27b)의 용량 의존적 증가를 매개했습니다 .
포도당 항상성의 주요 조절 인자이자 Glut1, 알돌라제, PDK1 및 PFK1의 조절 인자인 Sirt6는 FaDu 하인두 암종 세포에서 레스베라트롤에 의해 유도되었습니다.
더욱이, Sirt1은 염색질 패턴의 후성적 변형과 탈아세틸화에 의한 DNA 복구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또한 Sirt1은 세포 스트레스 반응을 제어합니다.
따라서 암에서 Sirt1의 상태와 활성은 후성 유전학적 상태 및 치료에 대한 세포 반응에 필수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병리학에서 SIRT는 심혈관 질환, 당뇨병, 신경 퇴행성 질환, 연령 관련 질환 및 암과 관련이 있습니다.
암에서 SIRT는 종양 원성 / 종양 촉진 및 종양 억제 효과를 발휘합니다.
레스베라트롤이 매개하는 Sirt1 신호 전달의 활성화는 인간 연골 육종 세포 아폽토시스를 촉진하고 두 개의 다른 대장암 세포에서 증식과 침입을 억제했습니다.
반면에 Sirt1 / 2 / 3 및 7은 유방암 발병, 진행, 전이 및 다중 약물 내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신진 대사에서 SIRT 및 역할.
Sirtuin | 영향을 받는 대사 경로 |
SIRT1 | 포도당 형성; 당분해; 인슐린 합성 및 분비; 콜레스테롤과 지방산 합성 |
SIRT2 | 포도당 형성; 트리글리 세라이드 합성 |
SIRT3 | 글루타민 대사; 케톤체 형성; 요소 순환; 지방산의 β- 산화 |
SIRT4 | 글루타민, 류신 및 탄수화물 대사; 지방산의 β- 산화 |
SIRT5 | 당분해; Tri-Carboxylic Acid Cycle; 케톤체 형성 |
SIRT6 | 포도당 형성; 당분해; 지방산의 β- 산화 |
SIRT7 | 지질 대사 |
레스베라트롤의 약동학
레스베라트롤은 식물에서 트랜스 및 시스 레스베라트롤의 두 이성질체로 발생합니다 .
트랜스 이성질체는 자연에서 우세하며 더 높은 안정성때문에 생물학적으로 더 활동적이고 더 자주 연구된다 .
레스베라트롤의 알코올 용해도 및 물에 대한 낮은 용해도는 흡수에 영향을 미칩니다.
장에서 레스베라트롤은 수동 확산을 통해 흡수되거나 인테그린과 같은 막 수송체와 복합체를 형성합니다.
전신 순환에서 레스베라트롤은 자유 형태 또는 대사 산물 (글루쿠로나이드, 황산염)로 발견될 수 있습니다.
유리 레스베라트롤은 지단백질이나 알부민에 결합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지질 단백질과 알부민 수용체를 통해 세포막의 이동과 세포로의 진입을 촉진합니다.
레스베라트롤의 구조에 있는 수산기는 또한 단백질 및 기타 영양소와 결합할 수 있게 합니다.
따라서 레스베라트롤 복합체는 용해성을 유지하고 소장에 흡수될 수 있습니다.
레스베라트롤 대사는 두 가지 주요 경로를 통해 발생합니다.
첫째, UDP-글루쿠로노실 트랜스퍼라제 (UGT) 효소 계열은 글루쿠론산 잔기에 대한 접합을 촉매함으로써 레스베라트롤의 글루쿠로니화를 매개합니다.
이것은 생물학적 특성을 변경하고 신체에서 제거를 촉진합니다.
레스베라트롤의 중요한 글루쿠로나이드 접합체는 레스베라트롤 -4'-O- 글루쿠로나이드 및 레스베라트롤 3-O- 글루쿠로 나이드를 포함한다.
그러나 인간의 간 마이크로 솜에는 레스베라트롤 -3-O- 글루쿠로나이드를 우선적으로 형성하는 고농도의 UGT 효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레스베라트롤의 생체 이용률과 조직 분포는 제한적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레스베라트롤은 생체 내에서 효과적입니다.
이는 레스베라트롤 대사 산물이 표적 조직에서 레스베라트롤로 재전환된 것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β-glucuronidase 및 sulfatase와 같은 효소의 deconjugation과 특정 조직 축적은 표적 부위에서 resveratrol의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안정한 황산염-접합 형태의 레스베라트롤이 표적 조직에 전달된 후, 출발 화합물이 재생되어 생체 내에서 유익한 효과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레스베라트롤의 유익한 효과는 강력한 약리학적 활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사 산물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빠른 신진 대사 외에도 소비되는 모든 레스베라트롤의 75 %가 빠르게 배설됩니다.
나머지 레스베라트롤은 대사되며 유리 레스베라트롤의 최대 관찰 농도는 초기 수준의 1.7 %에서 1.9 % 사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루에 0.5 또는 1g의 레스베라트롤을 투여하면 사람의 위장관에서 항암 효과에 충분한 농도가 생성되었습니다.
레스베라트롤의 생물학적 효과 개선
트랜스- 레스베라트롤의 약동학은 투여 경로, 용량 및 치료 요법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레스베라트롤의 혈장 농도는 섭취량과 관련이 있다.
500 mg 정제 형태의 경구 투여된 레스베라트롤은 잘 흡수되었다.
아침 투여 후 더 높은 일주기 변이를 나타냈다. (아침 투여 권장)
혈장 농도 트랜스- 레스베라트롤은 고용량과 짧은 투약 간격에도 불구하고 낮게 유지되었다.
자가 유화 약물 전달 시스템 , 액체 미셀 제형 , 층별 나노 제형 , 귀리 단백질-쉘락 나노 입자와 같은 레스베라트롤의 생물학적 효능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법이 있다.
레스베라트롤이 장착된 글리시리진산이 결합된 인간 혈청 알부민 나노 입자 (간을 표적으로 함) 및 트랜스- 레스베라트롤이 장착된 혼합 미셀 (뇌를 표적으로 함)을 사용하여 선택적 장기 표적화도 가능합니다 .
후추에서 추출한 알칼로이드인 피페린은 글루쿠로니드화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진 대사를 늦추어 레스베라트롤의 생체 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
히드록실화, 메톡시화 및 할로겐화 유도체와 같은 다양한 합성 레스베라트롤 유도체도 레스베라트롤에 비해 개선된 약동학 및 생물학적 활성으로 인해 주목을 받았습니다.
레스베라트롤을 사용한 임상 시험
42 명의 건강한 지원자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발암 물질 활성화 및 해독에 관여하는 효소를 조절하여 발암을 예방하는 레스베라트롤의 능력을 입증했습니다.
레스베라트롤은 또한 종양 억제제 RASSF-1α 의 메틸화를 감소시킴으로써 유방암 위험이 증가된 여성에게 화학 예방 효과를 발휘했습니다.
마찬가지로 BMI가 높은 폐경기 여성 (BMI ≥ 25kg / m 2 )에서 레스베라트롤은 호르몬 관련 유방암 위험 인자 (성 스테로이드 호르몬 결합 글로불린 및 에스트로겐 대사 산물)에 유리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40 명의 건강한 지원자에게 고용량 레스베라트롤을 반복적으로 투여하면 순환하는 IGF-I 및 IGF- 결합 단백질 -3 (IGFBP-3)이 감소하여 이 메커니즘이 레스베라트롤의 화학 예방 효능에 관여함을 시사합니다.
레스베라트롤은 또한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에서 공복 인슐린 수치를 감소 시켰습니다.
결장 직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1상 파일럿 연구에서는 레스베라트롤이 함유된 동결 건조 포도 분말이 결장 직장암에서 Wnt 신호 전달 경로를 억제하지 못했지만 정상 결장 점막 세포에서 Wnt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요한 것은 레스베라트롤이 안전하고 수많은 임상 연구에서 잘 견딘다는 것입니다 .
레스베라트롤은 경증에서 중등도의 위장관 증상 (1일 2.5 ~5g 투여) 또는 설사 (1일 2회 2g 투여)
레스베라트롤이 포도당 수송체 및 종양의 해당 효소에 미치는 영향.
암종 | 종양 세포 | 메커니즘 | 참고 |
유방암 | MCF-7 유방암 세포. | PFK 활동을 억제하여 포도당 대사를 방해하고 암세포의 생존력을 감소시킵니다. | [ 15 ] |
T47D 세포, BALB / c-ν 마우스. | 암세포 18 F-FDG 흡수 및 해당 대사를 억제하고 세포 내 ROS를 감소 시키며 HIF-1α 축적을 하향 조절합니다. | [ 17 ] | |
MDA-MB-231 유방암 세포. | de novo ceramide 합성 경로를 활성화하여 apoptosis를 유도하고 성장을 억제 합니다. | [ 91 ] | |
MCF-7 유방암 세포. | Glut1 매개 포도당 섭취를 감소시켜 항 증식 및 세포 독성 효과. | [ 92 ] | |
폐암 | 루이스 폐암 세포, BALB / c-ν 마우스. | ROS 매개 HIF-1α 활성화를 표적으로하여 포도당 섭취를 억제합니다. | [ 17 ] |
NSCLC, 이종 이식 마우스 모델. | HK2 매개 해당 과정을 손상시키고 고정 의존성 및 독립성 세포 성장을 억제합니다. | [ 93 ] | |
인간 폐암 A549 세포. | 글루코 세레브로시다 아제 발현, 세포 내 세라마이드 수준 및 세포 사멸을 증가시킵니다. | [ 94 ] | |
인간 기관지 상피 세포주 BEP2D. | CYP1A1 및 CYP1B1의 유도 된 발현을 억제합니다. 발암 성 벤조 [a] 피렌 대사 산물의 형성과 대사를 변화시킵니다. | [ 95 ] | |
대장 암 (CRC) | HT-29 세포, BALB / c-ν 마우스. | ROS 매개 HIF-1α 활성화를 표적으로하여 포도당 섭취를 억제합니다. | [ 17 ] |
HCT116 및 Caco2 세포. | 포도당 흡수, 해당 효소 (PK, LDH) 및 VEGF를 하향 조절합니다. 세포 사멸을 유도합니다. | [ 96 ] | |
CT26 세포, CT26 종양 보유 마우스. | 종양 성장과 포도당 흡수를 억제합니다. 세포 사멸을 증가시킵니다. | [ 97 ] | |
Caco2 및 HTC116 결장암 세포. | CamKKB / AMPK 경로를 통해 산화 능력을 유도합니다. PDH 활동을 증가시킵니다. | [ 98 ] | |
HT-29 결장암 세포. | PPP 및 talin-pFAK를 표적화하여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 사멸을 유도합니다. | [ 99 ] | |
전립선 암 | PC3 전립선암 세포. | 포도당 발효에서 미토콘드리아 호흡으로의 대사 전환을 통해 성장을 억제합니다. | [ 100 ] |
PC3 전립선암 세포. | 포도당 발효를 방해하여 산화 호흡을 촉진하여 종양 성장을 억제합니다. | [ 101 ] | |
난소 암 | SKOV3 및 CaOV3 난소암 세포. | Akt / mTOR 경로의 억제를 통해 포도당 섭취와 젖산 생산을 감소시킵니다. | [ 18 ] |
난소암 세포. | 포도당 흡수를 억제하고 Akt / Glut1 축을 손상시켜 세포 자멸사를 유도합니다. | [ 102 ] | |
A2780 및 SKOV3 난소암 세포. | 해당 과정의 억제 및 AMPK / mTOR 경로의 표적화를 통한 항 증식, 프로-아폽토시스 효과. | [ 103 ] | |
난소암의 전임상 마우스 모델. | 항 종양 효과로 포도당 섭취를 억제합니다. 시스플라틴 치료 후 종양 재성장을 억제합니다. | [ 104 ] | |
백혈병 | B-CLL 및 HCL 림프구성 백혈병. | 미토콘드리아 막 횡단 잠재력을 감소시키고 증식과 성장을 억제하며 세포 사멸을 유도합니다. | [ 105 , 106 ] |
CD95에 민감한 백혈병 세포, B-백혈병 세포. | 미토콘드리아 막을 탈분극하고 카스파 제 -9를 활성화하여 세포 사멸을 촉진합니다. | [ 107 ] | |
간 암 | HepG2 세포. | Sirt1 의존성 p-STAT3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 포도당 섭취를 억제합니다. | [ 108 ] |
HCC, HepG2, Bel-7402 및 SMMC-7721 세포. | PI3K / Akt 경로의 Sirt1 매개 번역 후 변형을 통해 증식 및 이동을 억제합니다. | [ 109 ] | |
췌장암 | Panc-1 인간 췌장암 세포. | ROS로 인한 고혈당을 억제합니다. ERK 및 p38-MAPK 신호 전달 경로를 억제합니다. | [ 110 ] |
췌장암 세포. | HIF-1α를 표적으로하여 증식과 포도당 흡수를 억제합니다. | [ 111 ] | |
췌장암 세포. | PSC에서 ROS / miR-21 매개 활성화 및 해당 과정을 하향 조절하여 이동을 억제합니다. | [ 112 ] |
'암 치료 약물 > 피토케미컬,한약,생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종 암에 옻의 항암 효과, 세포 실험, 한약 처방 (0) | 2021.06.18 |
---|---|
제니스테인 genistein (0) | 2021.06.02 |
커큐민의 항암효과 (0) | 2021.06.01 |
세슘 염화물 : 높은 pH 요법 (0) | 2021.04.30 |
EGCG 에피갈로 카테킨-3-갈레이트 and Cancer (1) | 2021.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