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마누카 나무 (Leptospermum scoparium)에서 유래된 특정 꿀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용 꿀 이상의 추가 항균 활동이 발견되었습니다. 수년동안 이 비과산화물 활동 (NPA)의 원인은 잘 이해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유 마누카 펙터 (UMF)라는 용어가 채택되었습니다. 2006년 독일의 과학자들은 마누카꿀의 비과산화물 항균 활성이 화합물 메틸글리옥살 (MGO)의 존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게 됩니다. 그리고 뉴질랜드 마누카꿀의 MGO 수준과 NPA 사이의 관계는 뉴질랜드 와이카토 대학의 연구자들에 의해 2008년에 출판된 논문을 통해 더욱 그 사실이 입증되었습니다. 마누카 꿀의 메틸글리옥살 MGO과 암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전에 일반적인 내용부터 보겠습니다. 마누카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