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2021년 5월 PMC에 개재된 것입니다.
저자는 사우디 제약.
핵심은 항암 효과가 있는 구충제 약물들이 있고 이를 보다 더 유용하게 할려면 낮은 수용해도와 낮은 생체이용률을 개선해야 하며 그에 관한 연구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제약사에서 연구한 논문이기에 후반부에 약제학적인 제형 개선에 관한 내용이 있습니다만 생략하겠습니다.
중복되는 내용이겠지만 그래도 가장 최근의 논문에 실린 구충제의 항암 효과라는 측면에서 보존 가치를 느낍니다.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180459/
항암제로서의 작용 방식
구충제는 다양한 유형의 암, 특히 암 줄기 세포 유사 하위 집단에 대해 항암 활성을 발휘했습니다.
Mukhopadhyay 등은 메벤다졸, 피르비늄 파모에이트 및 니클로사미드의 항암 활성을 보고했습니다. 2002년,, 2004년, 각각 2009년.
그 이후로 여러 연구에서 구충제가 항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습니다.
시험관 내 , 생체 내, 그리고 임상.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EGFR) 억제를 통한 P-당단백질(P-gp) 발현 하향 조절, 미세소관 중합 중단, 세포 자멸사 유도, 세포 주기 진행 억제(G2/M), 항 혈관 신생, 포도당 수송 차단, 미토콘드리아의 산화적 인산화 분리는 그림 1과 같이 확인되었습니다.
전반적으로 구충제는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임상시험에서 진행된 것(표 1) 과 그렇지 않은 기타.
그림 1. 구충제의 항암 활성(그림 1) ( Armando et al., 2020 , Son et al., 2020 ).
알벤다졸(ABZ), 이버멕틴(IVM), 레바미솔(LV), 메벤다졸(MBZ), 니클로사미드(NIC), 플루벤다졸(FLU), 라폭사니드(RAF), 니타족사나이드(NTZ), 피르비늄 파모에이트(PP), 및 에프리노멕틴(EP).
표 1. 항암 효과를 입증했으며 종양학에서 재배치 되고 있는 구충제 목록.
의약품 | 단계 | 암의 종류 | 임상시험 |
알벤다졸 | II | 대장암, 백혈병, 간암, 난소암 |
NCT02366884 |
이버멕틴 | II | 삼중음성 유방암, 대장암, 폐암, 난소 암 |
NCT02366884 |
레바미솔 | III | 간세포 암 | NCT03950518 |
레바미솔 | III | 간내 담관암 | NCT03940378 |
메벤다졸 | III | 대장암 | NCT03925662 |
메벤다졸 | 종료됨(효과 부족) | 위암 | NCT03628079 |
메벤다졸 | II | 대장암 | NCT03925662 |
니클로사미드 | 종료됨(낮은 발생) | 대장암 | NCT02687009 |
니클로사미드 | II | 대장암 | NCT02519582 |
니클로사미드 | II |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 | NCT04296851 |
니클로사미드 | II | 신경내분비 기원 종양, 폐암(비소세포), 유방암(삼중음성), 급성 골수성 백혈병, 골육종, 부신피질암, 신경교종 종양, 난소암, 전립선암, 폐암, 두경부암 | NCT02807805 |
임상 시험 중인 구충제
알벤다졸
알벤다졸은 간세포암종(HCC) 및 결장직장암종(CRC)에 대한 시험관내 항종양 효과와 복막 암종증의 이종이식 모델에 대한 생체내 항종양 효과를 입증했습니다 .
이 약물은 또한 다른 미세소관 표적 약물에 내성이 있는 종양 세포(예: 백혈병 및 난소암 세포)에 대한 항증식 활성을 나타 냈습니다 ( Armando et al., 2020 ).
미세소관 기능을 방해하는 것 외에도, 알벤다졸은 동물 모델(쥐)의 복막 난소 종양에서 혈관 내피 성장 인자(VEGF)의 생성과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Armando et al., 2020 , Pourgholami et al., 2006).
현재 알벤다졸의 항암 효과는 임상시험(임상시험 번호 NCT02366884 ) 에서 조사 중이다.
4.1.2. 이버멕틴
Ivermectin은 기생충 세포막 투과성을 증가시켜 마비 및 사망을 초래함으로써 항기생충 효과를 발휘합니다.
또한 일부 예비 항암 효과도 입증했습니다( Armando et al., 2020 ).
Ivermectin은 다양한 종양 및 암 세포에서 증식, 전이 및 혈관신생 활성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활동은 p21 활성화 키나제 1을 통해 다양한 신호 전달 경로를 조절하는 능력에서 기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버멕틴은 세포자멸사, 자가포식 및 파이롭토시스와 같은 프로그램된 세포 사멸을 돕습니다.
또한 다제내성 세포를 화학요법제에 민감하게 할 수 있어 다른 화학요법제와 병용 시 최적의 효과를 발휘합니다( Tang et al., 2020 ).
Jiang et al. (Jiang, Wang, Sun, & Wu, 2019 )는 이버멕틴이 항암제에 대한 종양 세포의 내성을 역전시키는데 강력하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약물은 주로 EGFR의 억제를 통해 P-gp 발현을 감소시켜 기능합니다.
Ivermectin은 EGFR의 세포외 도메인에 결합하여 활성화를 억제하여 ERK/Akt/NF‑κB 경로를 억제합니다.
NF-κB의 제한은 P-gp 전사의 감소를 유발합니다.
Ivermectin은 또한 세포 증식 및 세포 사멸 억제와 관련된 유전자의 전사 활성제 역할을 하는 YAP1(예 관련 단백질 1)의 제한을 유발합니다( Armando et al., 2020 ).
또한, 이버멕틴은 카리오페린 β1(핵 수송 인자를 암호화하는 KPNB1) 기능을 차단합니다.
Kodamaet al. (Kodama et al., 2017 )은 이버멕틴이 난소암 세포에서 KPNB1의 기능을 억제하여 세포자멸사 및 세포 주기 정지를 초래한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파클리탁셀과 함께 이버멕틴은 생체 내에서도 상승적인 항암 효과 를 일으켰 습니다( Kodama et al., 2017 ).
Ivermectin은 또한 T-cell factor(TCF) 계열의 전사 인자에 영향을 미치는 표준 wnt(날개 관련 통합 부위) 신호 전달 경로를 억제하여 결장암 및 폐암 증식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Armando et al., 2020).
Ivermectin은 또한 삼중 음성 유방암(TNBC)에서 암 줄기 세포(CSC) 표현형의 상피-중간엽 전환 및 유지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조절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시험관 내 에서 클론 생성 자가 재생 기능 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생체 내 종양 성장 및 전이의 제한 ( Kwon et al., 2015 ). 또한 이버멕틴은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항종양 효과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다제내성 단백질과 같은 다양한 표적과 상호 작용 할수 있습니다 ( Juarez, Schcolnik-Cabrera,& Dueñas-Gonzalez, 2018 ).
4.1.3. 레바미솔
레바미솔은 항종양 활성과 같은 다양한 기능으로 확인되었습니다( Qiao et al., 2020 ).
특히, 5-플루오로우라실(5-FU)의 보조제로 사용되며 결장암(3기) 치료를 위해 5-FU와 함께 사용됩니다( Qiao et al., 2020 ).
Costa e Silve et al. ( Costa, Celani, Azevedo, & Medeiros, 2019 )는 생체 외를 사용하여 쥐의 우레탄 유발 폐 종양 치료에서 시스플라틴과 레바미솔의 효능을 비교했습니다. 형광 이미징.
결과는 levamisole 치료 그룹에서 평균 형광 강도(MFI)가 245 ± 15인 반면, 이 값은 시스플라틴을 투여받은 동물에서 277 ± 28임을 보여주었습니다.
식염수 처리군의 MFI는 680±57로 다른 군에 비해 상당히 높았다(p<0.05).
연구 결과에 따르면 레바미솔은 쥐의 우레탄 유발 폐종양 치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Costa et al., 2019 ).
Qiao et al. ( Qiao et al., 2020 ) 시험관 내 및 생체 내 모두 에서 폐암에서 levamisole의 항암 효과를 평가했습니다.
그리고 결과는 levamisole이 폐암 세포의 증식을 감소시키고 G0/G1 단계에서 세포 주기 정지를 억제함을 입증했습니다.
또한, levamisole은 c-Jun N-terminal kinase(JNK)의 인산화 제한을 통해 TRAIL(tumor necrosis factor-related apoptosis-inducing ligand) 유도성 사멸 수용체 4(DR4)-independent apoptosis rate를 증가시켰습니다.
또한, levamisole은 LC3B(세포 보호 경로로서 LC3B-DR4/ErK의 구성요소)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이어서 ErK의 인산화를 활성화시키고 DR4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레바미솔은 2건의 임상시험(3상)을 통해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받고 있다 . (NCT03950518 ).
두 번째는 진행성 간내 담관암( NCT03940378 ) 치료를 위해 염산 레바미솔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 Laudisi et al., 2020 ).
4.1.4. 메벤다졸
메벤다졸은 적절하고 입증된 독성 프로필과 약동학을 가지고 있어 치료 목적에 적합한 약물을 만들기 때문에 적절한 재배치 약물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쉽게 투여할 수 있는 저렴한 약물입니다.
메벤다졸은 종양 진행에 기여하는 다양한 인자(예: 튜불린 중합, 혈관신생, 생존 촉진 경로 및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의 억제를 유발합니다.
메벤다졸은 직접적인 세포독성 효과를 일으키고, 전리방사선 및 다양한 화학요법과 시너지 효과를 내고, 항종양 면역반응을 유발한다.
메벤다졸은 단일 제제로 또는 화학요법제와 함께 사용하여 종양 성장의 감소 또는 완전한 억제, 전이성 확산의 현저한 감소 및 생존 시간의 증가를 유발합니다( Guerini et al., 2019).
다양한 암에 대한 메벤다졸의 치료 효과는 다양한 연구에서 입증되었습니다(Chen et al., 2019 , Zhang et al., 2019b) .
Chen et al. (Chen et al., 2019) 메벤다졸은 c-Maf(골수종 형성에 참여하는 중요한 발암성 전사 인자) 발현 골수종 세포에서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고, 약물의 경구 투여는 인간 골수종 이종이식편(누드 마우스)의 성장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Zhang et al. ( L. Zhang et al., 2019)는 0.7μM 농도의 메벤다졸이 2개의 인간 유방암 SUM159PT 및 MDA-MB-231 세포에서 분류되지 않은 세포로부터의 맘모스피어 형성을 약 86 및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각 88%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재, 메벤다졸은 결장암 및 CRC( NCT03925662 )를 포함한 다양한 암의 치료를 위한 다양한 임상 시험(II 및 III) 단계를 진행 중입니다 .
4.1.5. 니클로사미드
기생충에 대한 니클로사미드의 작용 메커니즘은 미토콘드리아의 산화적 인산화를 분리하여 기생충의 대사를 방해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Barbosa et al., 2019 ).
맥도날드( 맥도날드 외, 2006)는 이 약물에 대한 예상치 못한 결과가 관찰되었을 때 암에 대한 니클로사미드의 가능한 재배치를 확인한 첫 번째 사람일 수 있습니다.
그들은 다양한 치료 범주에 속하는 다양한 화합물에서 숨겨진 또는 예상하지 못한 생물학적 기능을 감지하기 위해 단백질 단편 보완 분석(PCA)을 사용하여 인간 배아 신장 293(HEK-293) 세포에서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평가했습니다.
PCA는 니클로사미드를 사용할 때 인간 전립선암 세포(PC-3)( Samy et al., 2020 ), 인간 폐암 세포(A549)( Özdemir )를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암세포에서 관찰되는 예상치 못한 항증식 효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Turanli, Çalişkan, Arka, & Banoglu, 2020 ), 인간 췌장암 세포(MiaPaCa)( Lee, Lee, Sim, & Kim, 2020)),
인간 결장암 세포(LOVO)( Lee et al., 2020 ) 및 인간 교모세포종 세포(U87MG)( Arzani et al., 2019 ),
평균 농도에서 50(IC 50 ) 의 억제 농도 0.6μM( MacDonald et al., 2006 ).
이후 다양한 전임상 연구(L. Chen et al., 2017 , Suliman et al., 2016 , Zhou et al., 2017)는 니클로사미드가 NOTCH, NF-κB 및 포유류의 라파마이신 표적(mTOR)을 포함한 신호 전달 경로의 억제를 통해 항암 효과를 발휘함을 입증했습니다.
또한 Wnt/β-catenin, STAT3 및 MEK1/2-ERK1/2와 같은 다른 발암 경로를 억제하는 약물의 효능은 식도, 난소 및 암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암세포에 대해 입증되었습니다.
여러 전임상 연구에서 흑색종( Shangguan et al., 2020 , Wei et al., 2020 , Zhu et al., 2019 ).
현재 니클로사미드의 항암 효과는 여러 임상 시험( NCT02687009 , NCT02519582 , NCT04296851 , NCT02807805 ) 에서 평가되었습니다 .
유망한 항암 효과를 가진 구충제
플루벤다졸
플루벤다졸은 백혈병, 신경모세포종, 다발성 골수종, 흑색종 및 유방암 세포를 포함한 다양한 암세포에 대한 항종양 효과를 입증했습니다( Armando et al., 2020 , Hou et al., 2015 ).
i) 미세소관 구조의 변화 유도,
ii) 세포자멸사 유도,
iii) 혈관신생의 제한,
iv) 세포 분화의 유도,
v) 세포 이동의 제한,
vi) 반응성의 유도를 통해 기능합니다.
산소종(ROS) 활성화 오토파지( Armando et al., 2020 , Hou et al., 2015 ).
현재 인간 악성 종양에 대한 플루벤다졸의 항종양 효과를 고려한 임상 시험은 없습니다( Armando et al., 2020 ).
라폭사나이드
Rafoxanide는 할로겐화 살리실아닐리드이며 흑색종 및 CRC에서 널리 발생하고 더 나쁜 예후와 관련이 있는 발암성 BRAF V600E 돌연변이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습니다( Laudisi et al., 2020 ).
CRC 세포의 증식을 제한하는 반면, 정상적인 결장 상피 세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Rafoxanide는 cyclin D1 단백질의 발현을 하향 조절하고 G0/G1 단계에서 세포 축적을 유발합니다.
이러한 과정은 소포체 스트레스 반응의 선택적 유도에 의존하여 카스파제 의존적 세포 사멸을 초래합니다( Grazia et al., 2020 ).
또한, rafoxanide는 in vitro에서 PI3K/Akt/mTOR 신호 전달 경로의 활성 제한을 통해서 인간 위암 SGC-7901 및 BGC-823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 과정은 암세포에서 자가포식과 세포자멸사를 유도합니다( Liu et al., 2019 ).
니타족사나이드
nitazoxanide의 항암 효과는 난소 및 결장암과 같은 다양한 암에 대해 보고되었습니다( Laudisi et al., 2020 , Pal et al., 2020 ).
Nitazoxanide는 탁월한 약동학 및 안전성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습니다.
글루타티온-S-트랜스퍼라제 P1(GSTP1) 의존적 방식으로 CRC 세포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HCT-116 및 HT-29 유래 회전 타원체에서 nitazoxanide는 c-Myc, mTOR 및 Wnt 신호 전달 경로(0.1–17 µmol/L)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AMPK 경로를 활성화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nitazoxanide(100mg/kg)와 이리노테칸(40mg/kg)의 조합이 이리노테칸에 비해 NMRI nu/nu 마우스에서 인간 이종 이식 결장직장암의 종양 성장을 강력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생체 내에서 확인되었습니다. (Laudisi et al., 2020 ).
유방암 이종이식 마우스 모델에서 nitazoxanide는 AMPK, mTOR 및 Wnt 신호 전달과 같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기능하는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또한 이 모델에서 nitazoxanide는 c-Myc의 하향 조절을 통해 작용합니다( Pal et al., 2020 ).
실험 쥐에서 N-메틸-N-니트로소우레아(MNU)에 의해 유도된 유선 암종에 대한 타목시펜(타목시펜)의 항암 효과와 비교하여 니타족사니드(50mg/kg)의 항암 효과를 평가했습니다.
결과는 nitazoxanide가 동물의 조직학적 구조를 회복하고 글루타티온, 단백질 카르보닐 및 카탈라아제와 같은 산화 스트레스 마커와 산화질소, 황화수소, 사이클로옥시게나제 및 리폭시게나제와 같은 염증 마커의 폐포를 감소시키고 하향 조절을 유발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결과는 nitazoxanide가 MNU에 의해 개발된 유선 암종에 대한 잠재적인 화학 예방제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프라지콴텔
Praziquantel은 구충제이며 그 기능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Ca2+ 채널의 차단을 통해 기능할 수 있으며, 그 결과 Ca2+의 세포 내 농도가 증가하고 근육 수축이 유도됩니다. ( Laudisi 등. 2020 ).
20-40 μM 농도의 프라지콴텔은 파클리탁셀의 세포독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이 입증되었습니다.
특히, 프라지콴텔과 파클리탁셀은 시너지 효과로 세포 증식을 억제하고 CRC DLD-1과 같은 다양한 암세포에서 세포자멸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Laudisi et al., 2020).
파클리탁셀과 조합된 프라지콴텔은 또한 카스파제 활성의 효과적인 억제제로서 기능하는 항-세포자멸 단백질로서 X-연관 세포자멸 단백질(XIAP) 발현의 억제제를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Laudisi et al., 2020 ).
피르비늄 파모에이트
Pyrvinium pamoate는 다양한 암세포, 특히 CSC를 죽일 수 있습니다.
약물은 WNT 및 Hedgehog 종속 신호 전달 경로의 감소를 통해 기능합니다( Dattilo et al., 2020 ).
또한 미토콘드리아 호흡을 억제하고 발암성 PI3K 의존성 신호 전달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Dattilo et al., 2020 ).
지질 동화 작용에 영향을 주어 CSC의 전이를 감소시킨 삼중 음성 유방 CSC에 대한 피르비늄 파모에이트의 항암 효과를 입증했습니다.
이 약물은 포도당에서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으로의 동화 작용을 방해했습니다.
Nair et al. 은 REH 및 RS4를 포함한 인간 B 세포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세포에 대한 피르비늄 파모에이트의 항암 활성을 평가했습니다. ( Nair et al., 2020 )
또한, 이들 세포의 대사 기능은 세포외 산성화 및 산소 소모율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는 피르비늄 파모에이트가 REH 및 RS4 세포에 대해 각각 0.17 및 1μM 의 IC 50 으로 모든 세포주에 대해 항백혈병 효과를 나타냈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
또한 REH 세포 주기에 대한 약물의 효과를 평가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S기(~26%) 및 M기(~50%)에서 세포 수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Nair et al., 2020).
피르비늄 파모에이트의 항종양 활성은 인간 췌장암 PANC1 세포의 이종이식 모델에서도 평가되었습니다.
pyrvinium pamoate(100 및 200 µg)의 경구 투여는 종양 성장을 감소시키고 Akt 인산화를 억제했습니다.
피르비늄 파모에이트(0.1 및 0.3 μM)가 두 가지 중요한 샤페론(즉, GRP78 및 GRP94)의 전사를 억제하여 포도당 결핍으로 인한 펼쳐진 단백질 반응을 제한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 약물은 또한 포도당 기아에 의해 자극되는 다른 UPR 경로(예: XBP-1 및 ATF4)를 억제합니다( Laudisi et al., 2020 ).
피페라진
다양한 유형의 암세포에 대한 피페라진 및 그 유도체의 항암 효과는 다양한 연구에서 입증되었습니다( Evren et al., 2019 , Mongre et al., 2019 ).
5 μM 농도의 피페라진 유도체 AK301은 튜불린 중합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인간 대장 선암종 HT-29 및 HCT-116 세포에서 유사분열 정지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Laudisi et al., 2020 ).
동시에, AK301은 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 1(TNFR1)의 발현을 유도하므로 암세포가 TNF-α에 의한 세포자멸사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 시켰습니다 ( Laudisi et al., 2020 ).
Özdemir et al. ( Özdemir et al., 2020)은 일련의 벤지미다졸-피페라진 하이브리드를 개발하고 인간 폐암 A549 및 인간 유방암 MCF-7 세포에 대한 독성 효과를 평가했습니다.
결과는 대부분의 하이브리드가 2.8-7.8 μM 의 IC 50 으로 A549 세포에 대한 항증식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
또한 한 화합물은 IC 50 으로 A549 및 MCF-7 세포에 대해 가장 균형 잡힌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냈습니다.
각각 5.4 및 4.2 μM입니다.
기계적으로, 이러한 화합물은 PARP-1의 절단을 일으키고 카스파제 7을 활성화하여 처리된 세포의 수포 형성 및 핵 단편화의 상당한 증가와 같은 형태학적 변화를 초래합니다.
모든 결과를 고려할 때 이러한 발견은 이러한 화합물(벤즈이미다졸-피페라진 하이브리드)이 세포 사멸 유도를 통해 세포 독성을 발휘함을 보여줍니다( Özdemir et al., 2020 ).
에프리노멕틴
에프리노멕틴은 아베르멕틴 계열의 약물로 탁월한 광범위한 항기생충 활성을 나타냅니다.
Samy et al. ( Samy et al., 2020) PC-3 세포에 대한 항암 효과를 평가했습니다.
결과는 에프리노멕틴이 PC-3 세포 생존력의 현저한 감소뿐만 아니라 집락 형성 및 상처 치유 능력의 억제를 유발함을 입증했습니다.
에프리노멕틴은 ROS 유도 및 세포자멸사 활성화를 통해 세포독성 효과를 발휘했다.
이 약물은 또한 cyclin-dependent kinase 4(CDK4)에 영향을 주어 세포 주기의 G0/G1 단계에서 정지를 일으켜 PC-3 세포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에프리노멕틴은 암 줄기 세포(예: ALDH1, Nanog 및 CD44) 및 다능성 줄기 세포(예: 알칼리성 포스파타제)와 관련된 다양한 마커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약물이 핵에서 세포질로 β-카테닌의 전위를 유발하여 Wnt/β-카테닌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웨스턴 블롯 분석 결과 에프리노멕틴이 주요 세포 주기(예: cyclin D3, c-Myc) 및 항세포자멸 표지자(예: Mcl-1, XIAP, c-IAP1 및 서바이빈)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조적으로, 에프리노멕틴은 pH2A.X, Bad, 카스파제 9 및 3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PARP1에서 분열을 일으켰습니다.
이러한 발견은 에프리노멕틴이 세포자멸사 신호를 조절함으로써 진행된 PCa 세포의 치료를 위한 유망한 화합물로 간주될 수 있음을 입증했습니다.(Samy et al., 2020 ).
'암 치료 약물 > 오프 더 라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장암치료제 개발 특허자료 : 니클로사미드와 메트포르민 (0) | 2022.01.15 |
---|---|
암 치료를 위한 용도 변경 약물의 최신 뉴스 모음 (0) | 2021.08.18 |
스피로노락톤 spironolactone (0) | 2021.04.26 |
디설피람 (0) | 2021.04.20 |
탈리도마이드 (0) | 2021.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