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74

옻나무의 항암 작용 -사례보고서 포함

옻나무 RVS (Rhus Verniciflua Stokes) 최근 학술 연구에 따르면 R. verniciflua의 추출물은 항 증식, 항 염증 및 항 종양 활성을 포함한 다양한 치료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RVS에는 뛰어난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진 다양한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는 매우 의미가 있습니다. 이러한 화합물에는 fustin, fisetin, quercetin, butein, p-coumaric acid, kaempferol, sulfetin, catechol 및 에틸 갈레이트가 포함됩니다. 이 중 갈산, 푸스틴, 피세틴, 케르세틴, 부테인 및 설페레틴이 R. verniciflua의 주요 활성 성분입니다. RVS에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것으로 ..

각종 암에 옻의 항암 효과, 세포 실험, 한약 처방

옻나무와 toxicodendron vernicifluum으로도 알려진 RVS (Rhus Verniciflua Stokes)는 고대부터 한방에서 사용되는 아시아 토착 식물입니다. 그것은 주로 위장 질환 (고대부터 위염, 위암 및 죽상 동맥 경화증)의 치료에 사용되었습니다. 임상 연구에서 Rhus verniciflua stokes는 대장암, 위암, 간암, 신장암, 췌장암 및 폐암과 같은 다양한 암 환자에 대한 효능을 보여주었습니다. https://www.hindawi.com/journals/mi/2014/154561/#B12 Rhus verniciflua Stokes가 잠재력을 보인 가장 일반적인 암 유형은 간, 혈액, 유방, 뼈 및 위의 암 유형입니다 Rhus verniciflua Stokes는 여러 유형..

유방암 수술 전 화학 요법은 전이를 촉진한다

글을 읽기전에 먼저 제목처럼 결론이 단순한 것은 아닙니다. 쥐실험을 통해서 화학요법이 전이를 촉진시키더라는 것을 알아냈지만 사람의 경우에 짧은 기간으로 인해 확실히 그렇다고는 단정 지울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연구에서 전이의 종양 미세 환경이란 용어에 집중해야 할것 같고 화학요법은 이러한 미세 환경을 변경하여 암 세포가 전이에 용이한 상태를 만들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는 생각을 해야할 것 같습니다. 전이의 종양 미세 환경 (TMEM)이란 관문을 통과하면 나타나는 혈관, 즉 전이의 고속도로를 막을수 있는 레바스티니브 rebastinib라는 약에 관한 연구가 주제일 수도 있습니다. 여하튼 요즘은 이런 연구들을 보면서 드는 생각이 무엇을 핵심으로 하는건가? 무얼 위한 전개인가를 생각하며 글을 보다보니 속는건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