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버멕틴 자료를 보다가 발견하였는데 대단한 효과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름도 생소한 아쉬아간다. 위다놀라이드를 간략히 소개하고 자세한 내용은 다음에 올리겠습니다.
인도등지에서 나는 식물입니다. 항암효과가 있습니다.
식물이름이 아쉬아간다 입니다. 항암효과가 있는 성분 이름이 위다놀라이드. 위다페린입니다.
이미 건강보조제로 유명하더군요.
먼저 성분으로 검색한 결과입니다.
NIC 60 세포주 실험 결과인데 검색화학명은 withanolide와 withaferin 입니다.
먼저 위다놀라이드 NIC 60세포주 실험결과입니다.
암세포주 실험이지만 상당한 그래프 기울기로 효과가 큰걸 알 수 있습니다.
이버멕틴보다 그 기울기가 강합니다.
위다페린 NIC 60 세포주 실험결과입니다.
제일 밑에 소세포폐암자료는 짤렸습니다.
기울기와 사멸효과로 봐서는 위다페린이 더 강해 보입니다.
https://journals.plos.org/plosone/article?id=10.1371/journal.pone.0168170
위다놀라이드를 찾게된 논문입니다.
인간 암세포에서 위다놀라이드F의 오래 지속되는 WNT-TCF 반응차단 및 후성적 변형 활성 이라는 제목의 논문입니다.
오래전에 이버멕틴 관련 자료를 검색하다 보관해 둔 것인데 아하~ 이런 내용이 있을 줄 이제사 알았네요^^
위다놀라이드와 이버멕틴의 효과와 비교등이 연구되어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추후에 다루겠습니다
핵심 포인트는 위다놀라이드가 이버멕틴보다 우수한 점이 있다는 것 입니다
구조를 보면 둘다 락톤구조입니다. 비슷하면서도 다른~ 효과가 기대되는 위다놀라이드.
관심을 가져보시면 좋을듯 합니다^^
아쉬아간다. 이름이 참 묘하죠^^
아쉬아는 말(horse) 간다는 냄새. 즉 그 식물에서 말냄새가 난다해서 유래되었답니다
이번에는 아쉬아간다의 항암효과입니다
Ayurvedic 약용식물인 위다니아 솜니페라 (Withania somnifera)
https://www.tandfonline.com/doi/full/10.3109/13880209.2015.1027778
-수세기 동안 다양한 질병의 치료에 쓰였고 다양한 종류의 암에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
-withanolides, withaferins, withanone 및 withanosides를 포함하는 몇가지 대사산물이 유효성분
-Solanaceae 가지과 식물
-인도,파키스탄,아프가니스탄 및 남아프리카에서 유래한 식물
-학자들 사이에서“인도 인삼”으로 알려져 있다
-성분은 알카로이드와 락톤의 존재와 관련
-뿌리와 잎에 유효성분이 많다고 함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면역조절 및 신경보호
-다양한 유형의 암 치료에 대한 연구가 있음
-합리적인 용량이 무독성이고 안전하다
-W. somnifera는 급성 LD 50 값이 쥐(Rat)에서 465 mg/kg(332–651 mg/kg)이고 생쥐(mice)에서 432 mg/ kg (229–626 mg / kg) 인 것으로 밝혀진 안전한 약물로 간주
W. somnifera 는 암세포의 전이 확산을 예방하기 위한 대체 장기요법으로 제안 (Yang et al.의 연구. 2013)
전립선암에서 G2/M 세포주기의 조절자 역할, 세포사멸 (Roy et al., 2013 )
withaferin A가 후성 유전적 변화를 역전시켜 암세포의 형성과 증식을 막을 수 있음을 입증(Mirza et al. 2013)
W. somnifera 잎 추출물의 항 종양 활성
-witaferin A가 잎에 많이 존재한다
-p53 및 pRB(종양억제 단백질)를 활성화해서 암을 제어함
-난소암, 폐암, 유방암에 큰 잠재력이 있고 난소암, 폐암에 비해 유방암에 더 강력한 효과
-W. somnifera의 메탄올 추출물(withanolide A. withanoside IV 및 withanoside VI를 포함)은 신경 모세포종 질환에서 신경 돌기의 파생물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됨.
W. somnifera 뿌리 추출물의 항 종양 활성
-항암제 독소루비신과 비교한 연구에서 비 암성세포에서 비 세포독성이였다. 즉 몇년에 걸친 광범위한 연구끝에 암으로 인한 피로 회복 가능성이 있으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남
-뿌리추출물이 자궁경부암에 효과적이라는 보고
W. somnifera 에서 분리된 화합물의 항 종양 활성
-위다놀라이드가 위다페린A 및 기타 일부를 포함하는 구성 성분이다
-위다놀라이드 골격 구조는 22-hydroxyergostan-26-oic acid-26,22-lactone 으로 정의됨
-항 종양 작용이 뛰어난 위다페린이 추가됨
위다페린(WA, withaferin A)
-다른 위다놀라이드보다 더 표적 특이적이고 활동적
-튜블린에 대한 표적 특이성(WA 처리 후 β-tubulin의 현저한 감소)
-유방암에서 상피 중간엽 전이의 억제 및 비메틴 단백질 발현 감소
-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촉진하여 치사 유발
-WA가 WN 보다 더 강력한 세포독성 효과가 있다
-유방암에서 Notch 신호가 과발현 되는데 WA 적용 후 Notch 신호 전달이 감소. Notch1의 절단이 관찰되고 이는 WA 적용이 유방암 세포의 이동을 제한하고 암세포를 억제한다는 의미
-고열은 때때로 방사선 요법과 함께 암치료에 사용되는데 고열과 함께 WA는 침습성 암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도구로 작용할 수 있다
-전립선암에서 G2/M 단계에서 세포주기 조절자 역할을 하여 전립선을 억제
-유방암세포주에서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가 WA에 특이적인 표적으로 작용한다.
아쉬아간다의 성분과 효과
아쉬아간다의 성분을 살펴보겠습니다.
대개 건강보조제에 들어 있는 것은 뿌리를 말합니다.
이버멕틴이나 메벤다졸처럼 단일성분으로 들어 있는게 아닙니다.
여러 성분들이 복합되어 있습니다.
스테로이드성 락톤 또는 이의 배당체가 위타놀라이드 A입니다. 그 외 각종 배당체들이 있구요.
위타페린 A, 위타놀라이드가 중요합니다.
실험실용 시약 판매하는 사이트에서 위타페린과 위타놀라이드 가격을 보면 엄청난 가격이군요 ㅠ
현재론 기존에 건강보조제로 나온 제품에서 찾거나 아니면 직접 아쉬아간다를 재배하는 곳에서
구매를 해야 할 듯 보입니다. 국내에서도 이미 재배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위타페린A는 물보다 에탄올에 더 잘 용해 됩니다.
복용법
-300~500mg의 뿌리 추출물을 식사와 함께 섭취.
-낮은 용량(50~100mg)은 스트레스 유발과 면역억제를 줄이고 다른 불안 완화제의 효과를 향상시킬수 있다
각종 효과
-만성스트레스 및 불안장애 완화효과, 피로 개선. 심장 두근거림 줄임
-체내 코티솔을 주목할 만하게 감소시킴(스트레스를 받는 사람의 경우 유리할 듯)
-총콜레스테롤 감소(대략 10% 정도 감소됨), LDL트리글리세라이드 약간 감소시킴. HDL의 증가
-혈당의 약한 감소 효과, 정액 운동성 증가
-골관절염에서 통증,신체기능,경직 및 부종을 개선
-갑상선자극 호르몬의 감소, 무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이 나타남
-지구력 증가. 스프린트 성능 향상, 운동기능 향상
-인지장애, 양극성 장애가 개선됨
-헤모글로빈의 10% 미만 증가, 백혈구 적혈구수 변화 없음, 혈소판 수 변화없음
-간효소에 영향 없음
이 정도가 건강보조제 관련해서 나오는 내용들을 요약해본 겁니다
건강보조제로서 피로와 스트레스 개선. 불안장애 해소. 고지혈증 개선. 운동량 개선등은 아마도 면역력 개선으로 종합할 수 있겠고 갑상선기능저하증 있는 분은 안드시는게 좋을듯하네요.
그리고 각종 혈검수치에도 큰 변화가 없는게 독성도 없어 보입니다.
인간 암세포에서 Withanolide F의 오래 지속되는 WNT-TCF 반응 차단 및 후성적 변형 활성
https://journals.plos.org/plosone/article?id=10.1371/journal.pone.0168170
WNT-TCF 신호 전달 경로 반응차단제로 withanolode F.
결장암 이종 이식 성장을 억제. 종양성장을 장기간 억제한다는 점이 특징.
이전에 보고된 차단제로 TCF 및 이버멕틴의 유전적 차단효과를 모방한다.
표준 WNT-TCF 경로의 구성적 활성화는 여러 인간 암의 일반적인 동인입니다.
이것은 종종 APC 기능의 상실을 통해 발생하여 ß-CATENIN이 핵으로 들어가 TCF 인자와 연관되고 WNT-TCF 표적을 조절하도록합니다.
WNT-TCF 신호 전달의 여러 소분자 길항제가 개발중이지만 지금까지 환자용으로 승인된 것은 없습니다.
이전에 보고된 WNT-TCF 반응 차단제인 ivermectin과의 비교는 WNT-TCF 반응 유전자의 전체적인 억제에서 현저한 유사성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withanolide F와 ivermectin은 모두 인간 암세포에서 강력한 WNT-TCF 반응 차단제인 것으로 보입니다.
Withanolide F는 ivermectin과 마찬가지로 항상성 정상 표준 WNT 신호보다 생체내 병리학적 활성에 우선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HISTONE 3 마크에 대한 글로벌 분석 결과, 인간 결장암 세포의 치료가 이버멕틴이 아닌 CAP2가 전체 H3K4me1 수준을 감소시켜 후성 유전학적 지형에 대한 CAP2의 효과, 활성 인핸서와 관련된 마크 감소 및 관련 유전자의 억제를 지원함을 보여줍니다.
더욱이 H3K4Me1은 노화 과정에서 저 메틸화된 DNA 영역과도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withanolide F 처리가 과 메틸화 및 인핸서 활성 상실에 의한 유전자 억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위타놀라이드 F가 인간 암세포에 부과하는 오래 지속되는 후성유전학적 기억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나타내며 제한된 치료 후 WNT-TCF 경로 침묵을 연장할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하여 암 줄기 세포 고갈 및 종양 퇴행을 초래합니다.
Wnt 신호전달 경로 (Wnt signaling pathway)
Wnt 단백질은 β-카테닌 (β-catenin)의 안정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Wnt 단백질이 없을 때는 β-카테닌 단백질이 빠르게 분해되어서 제거가 되지만, Wnt 단백질이 있을 때, β-카테닌은 분해되지 않고, 양이 많아져서 핵 안으로 들어가 유전자 발현을 촉진시킨다.
Wnt 단백질에 의해서 활성화되는 유전자는 c-jun, 사이클린 D1 (cyclin D1) 등이다.
Wnt 단백질이 없는 경우에 글리코겐 합성효소 인산화효소 3 (GSK3)와 카세인 인산화효소 1 (CK1), APC, Axin 등에 의해서 β-카테닌 단백질이 인산화되고, 유비퀴틴화 되어서 분해된다.
그러나 Wnt 단백질이 있을 때, Wnt 단백질의 수용체로 작용하는 Frizzled 단백질과 결합을 통해서 disheveled (Dsh) 단백질이 활성화 되며, 활성화된 Dsh 단백질은 β-카테닌 단백질을 분해하는 기작을 멈추게 한다.
암에서 Wnt 신호전달
Wnt 신호전달이 활성화되면 cyclin D1등의 발현이 증가하여 세포의 성장이 증가하게 된다.
사람의 유방암에서 Wnt 단백질의 발현이 4배에서 10배까지 증가되어 있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20%의 전립선암에서는 β-카테닌 단백질이 활성화되어 핵으로 이동해 있다고 보고되었다.
뿐만 아니라 5~7%의 전립선암에서는 β-카테닌 단백질이 돌연변이가 되어서 글리코겐 합성효소 인산화효소 3 (GSK3)에 의해서 인산화가 되지 않아서 핵에 β-카테닌 단백질이 고농도로 축적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돌연변이는 간암, 대장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흑색종에서 발견된다고 보고되었다.
특히 90%이상의 산발적인 대장암(sporadic colon cancer)에서는 β-카테닌 단백질이 분해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β-카테닌 단백질을 인산화시키는 단백질 복합체 중에 하나인 APC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겼기 때문이다.
APC단백질이 돌연변이가 되면 글리코겐 합성효소 인산화효소 3 (GSK3)가 더 이상 β-카테닌 단백질을 인산화 시키지 못하고, 핵내에 β-카테닌 단백질이 축적되게 된다.
따라서 Wnt 단백질이 없는 상황에서 Wnt 신호전달이 활성화되고, 대장세포에서 Wnt 신호전달의 과도한 활성화는 대장암을 초래한다.
β-카테닌 = 세포간의 중요한 접착분자인 카드헤린과 결합하고 있는 단백질
[네이버 지식백과] Wnt 단백질 [Wnt protein] (분자·세포생물학백과)
아직은 아쉬아간다가 의약품처럼 약으로 나온게 없습니다. 건강식품으로만 나와있습니다.
실험실용으로 위타페린, 위타놀라이드가 있는데 가격이 비쌉니다. 구입할 방법도 연구되어야할것이고
윈트신호억제제로 이버멕틴과 유사한 효과, 좀 더 뛰어난 효과를 보이는데 부작용이 거의 없는게 장점이겠네요.
주로 대장암, 유방암, 전립선암에 효과가 있네요. 다른 암에도 각각의 효과도 있구요
'암 치료 약물 > 피토케미컬,한약,생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르베린 berberine (0) | 2021.01.11 |
---|---|
생강 zingerol 항암 효과 (0) | 2021.01.11 |
위타페린 암 대사 (0) | 2020.11.09 |
산화 스트레스와 암 : 트리팔라의 화학 예방 및 치료적 역할 (0) | 2020.11.03 |
인도 생약 Liv 52의 간에 대한 효과 2021년 6월 보충. (0) | 2020.10.26 |